반응형
Python 언어 학습
오늘은 3일 차 프로그래밍 마지막 챕터 파이썬입니다. 오늘도 열심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자료형
자료형 유형
유형 | 설명 | 세부 유형 |
기본 자료형 | 직접 자료를 표현하는 자료형 | 숫자형(Number) 논리형(Logical) |
컬렉션 자료형 | 다수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자료형 | 문자열형(String) 리스트형(List) 튜플형(Tuple) 딕셔너리형(Dictionary) 세트형(Set) |
기본 자료형
유형 | 설명 |
숫자형 | 숫자를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 정수형(int), 실수형(float)이 있음 |
논리형 | 변수의 참, 거짓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자료형 |
컬렉션 자료형
구분 | 유형 | 설명 |
시퀀스 자료형 | 문자열형 | 문자를 한 개 또는 여러 개 저장할 때 사용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 |
리스트형 |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형 | |
튜플형 | 초기에 선언된 값에서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료형 | |
비시퀀스 자료형 | 세트형 |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형 |
딕셔너리형 |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자료형 |
메서드
문자열 메서드
자주 사용하는 것만 정리하겠습니다.
함수 | 설명 |
upper() |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하는 메서드 Ex) upper("abc") => ABC |
lower() |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하는 메서드 Ex) lower("ABC") => abc |
split() | 문자열을 매개변수로 전달된 문자로 나누어 리스트로 변환하는 메서드 Ex) split("a,b,c", ',') => a b c |
리스트형 메서드
메서드 | 설명 |
append(x) | 리스트 마지막 요소 뒤에 x를 추가하는 메서드 |
clear() | 리스트의 모든 항목을 삭제하는 메서드 |
copy() | 리스트를 복사하는 메서드 |
count(x) | 리스트에서 x 항목의 개수를 알려주는 메서드 |
extend(i) | 리스트 마지막 컬렉션 자료형 i를 추가하는 메서드 |
index(x) | 값 x와 같은 값을 가지고 있는 인덱스 번호를 알려주는 메서드 |
insert(i, x) | 리스트의 i번지 위치에 값 x를 삽입하는 메서드 |
pop() | 마지막 항목을 삭제하고 값을 꺼내오는 메서드 |
remove(x) |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값 x를 제거하는 메서드 해당 값이 여러 개라면 가장 앞에 값이 삭제 된다. |
reverse() | 리스트의 위치를 전부 역순으로 바꿔주는 메서드 |
sort() | 리스트의 항목들을 정렬하는 메서드 |
시퀀스 자료형 요소 접근 방법
슬라이싱
시퀀스변수명[시작: 종료: 스탭]
형태 | 설명 |
시작 | - 슬라이싱을 시작할 인덱스 - 생략할 경우 ' [: 종료]' 또는 '[: 종료: 스탭]' 형태가 된다. |
종료 | - 슬라이싱을 종료할 인덱스 - 종료 인덱스에 있는 인덱스 전까지만 슬라이싱 - 종료가 '-'로 시작한다면 해당 인덱스까지 전부 보여줌 |
스탭 | - 몇 개씩 끊어서 슬라이싱을 할지 결정하는 값 |
연결, 반복 연산자
연산자 | 설명 |
+ | 두 시퀀스 자료형을 연결하는 연산자 |
* | 시퀀스 자료형을 반복하는 연산자 |
in, not in 연산자
연산자 | 설명 |
in | 리스트 내부의 특정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연산자 |
not in | 리스트 내부의 특정 값이 존재하는지 않는지 확인하는 연산자 |
비시퀀스 자료형 구조
세트형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의 성질을 가지오 있는 자료형
set라는 키워드로 세트형을 초기화하거나 {, }를 이용하여 세트형을 선언한다.
세트형 = set([요소 1, 요소 2,...])
세트형 = {요소1, 요소2, ...}
세트형 메서드
메서드 | 설명 |
add(값) | 값을 1개 추가하는 메서드 |
update([값1, 값2, ...]) | 여러 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하는 메서드 |
remove(값) | 특정 값을 제거하는 메서드 |
딕셔너리
구분 | 문법 | 설명 |
생성 | 딕셔너리 = {키1:값1, 키2:값2, ...} | {, } 안에 콜론(:)을 이용하여 키와 값을 구분한다. |
변경 | 딕셔너리명[키] = 값 | 기존 변수에 키와 값을 추가 기존 변수에 해당 키에 해당하는 값이 있었으면 값을 변경 |
삭제 | del 딕셔너리명[키] | 기존 변수에서 해당 키와 키에 해당하는 값을 삭제 |
자료형 함수
type 함수
유형 | 세부 유형 |
기본 자료형 | 정수형(Integer) |
실수형(Floating Point) | |
논리형(Logical) | |
컬렉션 자료형 | 문자열형(String) |
리스트형(List) | |
튜플형(Tuple) | |
딕셔너리형(Dictionary) | |
세트형(Set) |
len 함수
컬렉션 자료형의 크기를 계산하는 함수
연산자
Swap 연산자
- 두 변수의 값을 교환하는 연산자이다.
- 콤마를 기준으로 두 값을 교환한다.
산술 연산자
- 산술 연산자는 두 수의 수치 계산을 위한 연산자이다.
- 산술 연산자에는 사칙 연산(+, -, *, /, //), 지수 연산(**), 나머지 연산(%)이 있다.
비교 연산자
두 피연산자가 같은지 다른지를 비교하는 연산자이다.
대입 연산자
연산자 | 내용 |
**== | 왼쪽의 변수 값을 오른쪽 수의 제곱한 후 왼쪽 변수에 재할당 |
//== | 왼쪽의 변수 값을 오른쪽 수로 나눈후 내림한 값을 왼쪽 변수에 재할당 |
반복문은 C언어와 Java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def 함수명(변수명, ...):
명령어
return 반환값
디폴트 매개변수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 디폴트값):
명령문
람다 함수
- 람다 함수는 함수 이름 없이 동작하는 함수이다.
- 매개변수에 값을 전달하면 표현식에서 연산을 수행한다.
lambda 매개변수 : 표현식
(lambda n, m : n + m)(2, 3) # 5
# 변수를 이용한 람다 함수의 예
sum = (lambda n, m : n + m)(2, 3)
print(sum(1, 3)) # 5
내장 함수를 이용한 람다 함수
함수 | 형태 | 설명 |
map | map(함수, 리스트) | - 첫 번째 매개변수에는 함수, 두 번째 매개변수에는 리스트를 전달 - 리시트 요소르 함수에 전달하여 반복을 수행하는 함수 |
filter | filter(함수, 리스트) | - 첫 번째 매개변수에는 함수, 두 번째 매개변수에는 리스트를 전달 - 리스트 요소를 함수에 전달하여 조건이 참인 값을 반환하는 함수 |
클래스
클래스 정의
class 클래스명
def 메서드명(self, 변수명, ...):
명령어
return 반환값
# 입력받을 값(매개변수) 앞에 self라는 키워드를 적어야 한다.
class Example:
def fn(self): #입력받는 값이 없을 경우 self만 사용
print(5)
self
- self는 현재 객체를 가리키는 키워드
- 클래스 내부의 변수와 함수를 가리킬 수 있다.
생성자(Constructor)
생성자는 __init__이라는 메서드 명을 사용하고, 첫 번째 매개변수로 self를 작성하며, 반환 값이 없다.
구분 | 코드 |
생성자 정의 | class 클래스명: def __init__(self, 매개변수): 명령어 |
생성자 호출 | 클래스 변수 = 클래스(매개변수) |
소멸자(Destructor)
소멸자는 __del__ 이라는 메서드명을 사용하고, 첫 번째 매개변수에 self를 작성하며, 반환 값이 없다.
구분 | 코드 |
소멸자 정의 | class 클래스명: def __del__(self): 명령어 |
소멸자 호출 | 소멸자 클래스변수 |
클래스 접근 제어자
Python은 접근제어자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고 작명법으로 접근제어를 한다.
종류 | 규칙 | 설명 |
public | 밑줄이 접두사에 없어야 함 | 외부의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
protected | 한 개의 밑줄 _이 접두사여야 함 | - 같은 패키지 내부에 있는 클래스, 하위 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 자기 자신과 상속받은 하위 클래스 둘 다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
private | 두 개의 밑줄 __이 접두사여야 함 |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접근 제어자 |
클래스 상속
상속은 어떤 객체가 있을 때 그 객체의 변수와 메서드를 다른 객체가 물려받는 기능이다.
class 부모_클래스명:
...
class 자식_클래스명(부모_클래스명):
...
메서드 오버라이딩(Overriding)
- 오버라이드하고자 하는 메서드가 상위 클래스에 존재하여야 한다.
- 메서드 이름은 같아야 한다.
- 메서드 매개변수 개수, 데이터 타입이 같아야 한다.
class 부모_클래스명:
def 메서드명(self, 변수명):
명령어
class 자식_클래스명(부모_클래스명):
def 메서드명(self, 변수명): #부모 클래스와 메서드명, 매개변수가 같아야 한다.
명렁어
부모 클래스 접근
파이썬은 super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위 클래스의 변수나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다.
super().메서드명()
이제 6장이 끝났습니다!! 다음부턴 7장에 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일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1장 요구사항 확인 (4) | 2024.10.04 |
---|---|
[4일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7장-SQL 응용 (4) | 2024.10.02 |
[2일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Java 언어 (1) | 2024.09.27 |
[1일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C언어 (6)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