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2025년 기내 반입 금지 물품 총정리 | 여행 전 꼭 확인하세요!

by lovedeveloping 2025. 5. 13.
반응형

공항 이미지
공항 이미지

2025년 가장 최신 국내선/국제선 기내 반입 금지 물품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세요. 특히 2025년 3월부터 강화된 보조배터리 규정과 국내선/국제선 액체류 반입 기준 차이를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소중한 물품을 버리는 당황스러운 상황을 미리 예방하세요!

목차

  1. 2025년 달라진 기내 반입 금지 물품 규정
  2. 국내선과 국제선의 차이점
  3. 액체류 반입 기준 총정리
  4. 보조배터리와 전자기기 주의사항
  5. 의약품 및 의료기기 반입 방법
  6. 화장품 및 세면도구 반입 가이드
  7. 위험물로 분류되는 생활용품
  8. 국가별 특이 규정
  9. 반입 금지 물품 체크리스트
  10. 자주 묻는 질문 FAQ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행 좋아하시는 분들! 오랜만에 떠나는 여행에서 공항에서 소중한 물건을 버려야 하는 당황스러운 상황, 한 번쯤 겪어보셨을 텐데요. 특히 2025년에는 몇 가지 중요한 규정이 변경되어 여행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국내선과 국제선 항공편 이용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기내 반입 금지 물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2025년 달라진 기내 반입 금지 물품 규정

2025년에는 몇 가지 중요한 규정이 변경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1월 28일 에어부산 391편 화재사고 이후 2025년 3월 1일부터 국토교통부에서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이제는 보조배터리와 리튬배터리에 대한 규제가 더욱 엄격해졌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국내선 제주나 김포 갈 때 비행기에 가지고 탈 수 있는 기내 반입 금지 물품에 헷갈려서 정리했습니다. 특히 액체류와 보조배터리는 기준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바뀐 규정들을 포함하여 국내선과 국제선 모두 적용되는 기내 반입 금지 물품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2. 국내선과 국제선의 차이점

국내선과 국제선은 기내 반입 규정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국내선이 좀 더 자유롭고 국제선은 규제가 더 엄격한 편인데요, 특히 액체류 반입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납니다.

국내선의 경우

국내선은 액체류 기내 반입 제한이 없습니다. 생수, 알콜음료(70도 이하), 커피, 주스 등을 기내에 반입할 수 있으며, 김밥, 샌드위치, 햄버거 등 식품도 모두 반입 가능합니다. 1인당 반입 용량이 2ℓ까지 가능합니다.

국제선의 경우

국제선은 액체류에 엄격한 제한이 있습니다. 액체류는 개별 용기당 100mL 이하, 1인당 1L 투명 비닐 지퍼백 1개에 한해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이 규정은 국제선 전 노선 출발/환승 승객에게 적용됩니다.

 

참고: 국제선에서는 면세점에서 구매한 액체류라도 Security Tamper-Evident Bag(STEB)에 밀봉된 경우에만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환승 시에는 STEB가 훼손되지 않아야 합니다.

3. 액체류 반입 기준 총정리

액체류는 여행 시 가장 신경 써야 할 반입 제한 품목 중 하나입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젤이나 반고체 형태의 제품도 액체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간과합니다.

액체로 분류되는 품목들

대부분 사람들이 된장, 고추장은 액체가 아니라 기내 반입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젤 형태의 모든 것도 액체류와 동일하게 규정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품목들이 포함됩니다:

  • 음료수, 생수, 주스, 커피
  • 화장품(크림, 로션, 오일, 향수 등)
  • 젤, 페이스트(치약, 헤어젤, 젤리)
  • 스프레이(헤어스프레이, 데오드란트)
  • 김치, 된장, 고추장, 잼, 꿀
  • 부드러운 치즈

국제선 액체류 반입 팁

  • 100mL 이하 용기에 담긴 액체만 반입 가능
  • 모든 액체류는 투명한 지퍼백(1L 이하) 하나에 넣어야 함
  • 지퍼백은 보안 검색 시 별도로 제시해야 함
  • 의약품, 이유식은 예외적으로 반입 가능(증빙 필요)

화장품, 헤어젤, 헤어왁스, 치약, 마스카라, 향수 등의 액체류와 젤류를 기내로 반입하고 싶으면, 용기당 100mL 이하, 총 1L까지 가능하며, 투명한 지퍼백 1개(20cmX20cm)에 모두 넣어야 합니다. 

4. 보조배터리와 전자기기 주의사항

보조배터리는 2025년에 규정이 강화된 중요한 품목입니다. 화재 위험이 있어 특별 관리되고 있으니 반드시 규정을 확인하세요.

주요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배터리 용량 계산식은 전류(Ah)와 전압(V)를 곱하면 됩니다. 통상 보조배터리 용량은 mAh로 표기하므로, Ah로 계산할 때 1000을 곱해 줘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 100Wh 이하: 기내 휴대 가능, 위탁 불가
  • 100Wh 초과~160Wh 이하: 기내 휴대 가능(1인당 2개 이하), 위탁 불가
  • 160Wh 초과: 기내/위탁 모두 불가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법

보조배터리의 전압(V)를 알면 mAh를 Wh로 쉽게 바꿔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보조배터리는 보통 전압 3.7V 내외입니다. 

계산 공식: Wh = mAh ÷ 1000 × V(전압)

예를 들어, 10,000mAh, 3.7V 보조배터리의 경우: 10,000 ÷ 1000 × 3.7 = 37Wh (기내 반입 가능)

전자기기 주의사항

  •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은 기내 반입 가능
  • 전자담배는 보조배터리처럼 위탁 불가, 기내 휴대만 가능
  • 리튬배터리로 작동하는 모든 기기는 기내에서 충전 금지
  • 스마트 가방의 경우 배터리가 분리 가능해야 함

리튬배터리로 구동되는 일체의 탈 것류(장애인, 노약자용 전동 휠체어 제외)는 배터리 용량에 관계없이 기내반입/수하물 위탁 모두 불가합니다. 대상 품목에는 에어휠, 솔로휠, 호버보드, 미니 세그웨이, 전기 자전거, 전동 스쿠터, 전동 킥보드, 전동 스케이트 보드 등이 포함됩니다.

5. 의약품 및 의료기기 반입 방법

의약품과 의료기기는 예외적으로 반입이 허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의약품 반입 규정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기내에 반입할 수 있지만 액체류는 용기당 100mL 이하로 준비해야 합니다. 의사가 처방한 조제약은 꼭 처방전도 함께 챙기세요.

  • 처방약: 처방전, 약 봉투, 진단서 등 증빙 필요
  • 액체 의약품: 항공 일정에 필요한 양만 반입 가능
  • 주사기: 의료 목적임을 증명할 서류 필요
  • 알약: 별도 제한 없음

의료기기 반입 규정

의료용 산소발생기 등의 반입은 항공사마다 규정이 다르니 미리 확인하세요. 대한항공의 경우, 휴대용산소발생기(POC)는 예약접수 단계에서 의사소견서를 제출한 후 반입할 수 있고,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예약접수 단계에서 '특수고객 운송신청서'와 '항공 여행을 위한 의사소견서' 제출해야 합니다.

  • 휴대용 산소발생기: 사전 승인 필요
  • CPAP 기기: 별도 규정 적용
  • 당뇨 관련 용품: 의료 목적 증명 필요
  • 맥박 측정기, 체온계: 일반적으로 반입 가능

중요: 의료기기가 필요한 경우 출발 최소 48시간 전에 항공사에 미리 연락하여 반입 가능 여부와 필요한 서류를 확인하세요.

6. 화장품 및 세면도구 반입 가이드

여행 시 필수품인 화장품과 세면도구도 규정에 맞게 준비해야 합니다.

국제선 화장품 반입 규정

  • 모든 화장품은 100mL 이하 용기에 담아야 함
  • 투명 지퍼백 1개에 모두 담아야 함
  • 분말 화장품(파우더, 아이섀도우 등)은 제한 없음
  • 립스틱, 고체 타입 제품은 액체로 간주되지 않음

세면도구 주의사항

일회용 면도기는 기내 수하물에 넣어 반입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종류의 면도기는 위탁 수하물로 부치셔야 합니다.

  • 칫솔: 제한 없음
  • 치약: 액체류 규정 적용(100mL 이하)
  • 면도기: 일회용만 기내 반입 가능
  • 가위: 날 길이 6cm 미만만 반입 가능

TIP: 장기 여행이라면 현지에서 구매하거나 호텔 제공 용품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7. 위험물로 분류되는 생활용품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물품 중에도 항공안전 규정상 위험물로 분류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라이터 및 성냥

라이터와 성냥은 1인당 1개까지 비행기 탈 때 가지고 탈 수 있고, 수하물로는 부칠 수 없습니다. 라이터나 성냥은 가방이 아니라 몸에 지니고(입고 있는 옷 주머니에 넣고) 탈 수 있습니다.

  • 터보 라이터, 제트 라이터: 기내/위탁 모두 불가
  • 일반 라이터: 1인 1개만 기내 반입 가능, 위탁 불가
  • 성냥: 1인 1개만 기내 반입 가능, 위탁 불가
  • 중국 노선: 라이터 일체 금지

스프레이 및 위험 화학물질

IATA 항공 위험물 규칙서에서는 화장품류(헤어스프레이, 데오드란트 스프레이 등)와 의약품류(살균 및 소독 스프레이, 냉각 스프레이), 스포츠 용품, 일용품(인화성 가스 및 독성 가스 이외의 것)에 대해 용기 1개에 0.5kg 또는 0.5리터 이하인 것은 1명당 2kg 또는 2리터까지 기내 반입 및 위탁 모두 가능합니다.

  • 헤어스프레이: 500ml 이하, 1인당 2리터까지
  • 소화기: 기내/위탁 모두 불가
  • 살충제: 기내/위탁 모두 불가
  • 최루가스: 기내/위탁 모두 불가

공구류 및 운동용품

  • 칼, 가위: 날 길이 6cm 이상은 위탁만 가능
  • 골프채, 야구배트: 위탁만 가능
  • 등산용 스틱: 국내선은 반입 가능하나 국가별 규정 확인 필요
  • 보딩 장비: 위탁만 가능

등산용 스틱은 기내에 반입이 가능할까? 답은 YES. 제주도를 가든 해외를 가든 국내에서 출국 시 등산용 스틱을 기내에 반입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긴 우산, 손톱깎기, 일반 휴대용 면도기, 테니스 라켓 등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행 예정 국가의 기내 반입 금지 품목도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8. 국가별 특이 규정

국가마다 특별히 적용되는 기내 반입 규정이 있어 여행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본

일본에서는 등산용 스틱을 기내에 반입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헤어고데기(hair curler)는 한국에서는 위탁수하물로 반입이 가능하나, 일본에서는 휴대 및 위탁수하물로 반입금지되는 운송제한 물품입니다. 

중국

중국노선의 경우 라이터 일체가 금지됩니다. 또한, 광저우, 베이징 등 중국 출발 항공편에는 리튬배터리(기기 장착, 여분 포함)의 위탁 수하물 반입이 엄격히 제한됩니다. 

미국

미국에서는 테니스 라켓, 구방망이 등을 들고 탈 수 없습니다.  또한, 미국행 항공편에는 용기당 350ml 미만의 분말류(파우더류) 물품만 반입이 가능합니다. 

호주

호주발 국제선 항공편에는 인당 350ml 미만의 분말류(파우더류) 물품만 반입이 가능합니다. 

중요: 여행 전 반드시 방문 국가 및 이용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확인하세요. 국가별 규정은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9. 반입 금지 물품 체크리스트

여행 전 다음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기내 반입 물품을 확인하세요:

기본 체크리스트

  • 액체류: 국제선은 100mL 이하만 기내 반입 가능
  •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후 기내 휴대만 가능(위탁 불가)
  • 라이터/성냥: 1인 1개만 기내 반입(몸에 소지)
  • 칼/가위: 날 길이 6cm 미만만 기내 반입 가능
  • 의약품: 의료 목적 증명 서류 준비
  • 스프레이: 용량 확인(일반적으로 500ml 이하)
  • 스포츠 장비: 대부분 위탁만 가능

물품 분류별 체크리스트

품목 국내선 국제선 비고
생수 기내/위탁 가능 100mL 초과 기내 불가 -
보조배터리 기내만 가능 기내만 가능 용량 확인 필수
화장품 제한 없음 100mL 이하만 기내 가능 투명 지퍼백 필요
식품 대부분 가능 액체류 제한 적용 김치, 젤리 등은 액체 취급
칼/가위 대부분 위탁만 가능 날 길이 6cm 미만만 기내 가능 -
라이터 1인 1개 기내만 가능 1인 1개 기내만 가능 몸에 소지해야 함

10.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국내선과 국제선의 액체류 반입 기준 차이는 무엇인가요?

A: 국내선은 액체류 기내 반입 제한이 없지만, 국제선은 각 용기의 용량이 100ml 이하로 1인당 1개의 1L 용량의 투명 비닐 지퍼백에 넣어 휴대반입만 가능합니다

Q2: 보조배터리는 어떻게 반입해야 하나요?

A: 여분의 리튬배터리 및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 운송이 불가합니다. 배터리는 절연테이프 처리 또는 1개당 1개의 지퍼형 투명 비닐팩(개별 준비)에 넣은 후 직접 휴대해야 하며, 기내 선반에 보관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됩니다.

Q3: 2025년에 변경된 규정이 있나요?

A: 2025년 1월 28일에 에어부산 391편 화재사고가 있었는데, 이후 2025년 3월 1일부터 국토교통부에서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Q4: 의약품은 100mL 이상도 반입 가능한가요?

A: 당뇨병 환자용 및 의약품은 항공일정에 필요한 용량에 한하여 기내에 휴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에 대하여는 의약 상품명 또는 의사소견서를 소지하고 물품의 출처를 증명하는 서류(처방전, 약 봉투, 진단서 등)를 제시해야 합니다. 

Q5: 라이터는 기내에 반입할 수 있나요?

A: 라이터(터보 라이터 등 프리 믹싱 라이터를 제외)와 성냥은 합쳐서 1인 1개까지 기내로 반입할 수 있습니다.

단, 중국노선의 경우 라이터 일체 금지됩니다.

Q6: 김치나 고추장도 액체로 취급되나요?

A: 된장, 고추장은 액체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젤 형태의 모든 것도 액체류와 동일하게 규정됩니다. 액체류 음식류인 수프, 김치, 된장, 고추장, 홍삼정은 국제선에서 기내반입이 제한됩니다. 

결론 및 요약

2025년 기내 반입 금지 물품 규정을 정확히 알고 여행 준비를 하시면 공항에서의 당황스러운 상황을 피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선과 국제선의 차이, 액체류 반입 기준,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법을 잘 기억해두세요.

 

여행 전에는 항상 이용하는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정은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으며, 국가마다 다른 규정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